월세 살면서도 전세대출 받는 법! 보증부월세 활용 전략 총정리

 

🏠 월세 살면서 전세자금 대출받는 합법적 방법

“전세자금대출은 전세 살 때만 되는 거 아냐?” 정답은 NO! 실은 ‘보증부 월세’ 구조만 갖춰도 합법적으로 전세자금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.

이번 글에서는 ‘보증부 월세’ 조건에서 전세자금 대출을 받는 방법을 사례와 함께 명확히 안내드립니다. 특히 청년, 사회초년생, 신혼부부라면 꼭 알아두세요.

📌 1. 전세자금 대출은 이런 조건이 필요해요

  • 📄 보증금 5천만 원 이상 (수도권은 1억 원 이상이면 신청 가능성 ↑)
  • 💳 소득요건: 연 소득 5천만 원 이하 (청년), 신혼부부는 6천만 원 이하
  • 🏠 전용면적 85㎡ 이하 주택 또는 오피스텔
  • 📝 임대차계약서 + 전입신고 + 확정일자는 무조건 필요

💡 즉, 순수 전세가 아니어도 보증금 비중이 충분하면 ‘전세 간주’되어 대출 대상이 됩니다.

💡 2. ‘보증부 월세’ 형태로 대출 가능

✅ 예시: 보증금 7천만 원 + 월세 15만 원 이러한 계약은 전세자금 대출 심사에서 보증금 부분만 적용받습니다.

  • 🏦 신청 가능한 상품: 청년 전세자금대출, 버팀목 전세자금대출,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
  • 📌 핵심 요건은 보증금 명시 + 전입신고 가능 주택

📌 보증금이 적을 경우에는 대출 한도가 너무 낮거나 부결될 수 있으므로, 보증금이 5천만 원 이상인 집을 우선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.

📝 3. 계약서 작성 팁

  • 📄 계약서에 보증금과 월세를 명확히 구분해서 기재
  • 🧾 특약 사항에 “보증금은 전세자금대출 심사 기준으로 사용 예정” 등 명시 가능 (선택 사항)
  • 📬 전입신고는 계약 체결 후 즉시 → 확정일자도 주민센터에서 반드시 받아야 함

💡 일부 대출 심사기관은 등기부등본상의 소유자와 계약자의 일치 여부를 철저히 확인하므로, 대리 계약 시 위임장, 인감증명서 등 추가서류 필요할 수 있습니다.

📋 4. 이용 가능한 대출 프로그램

✅ 이 외에도 중소기업 취업청년 전세자금최대 1억 원까지 무이자 지원이 가능한 만큼, 해당 요건도 함께 검토해보세요.

🧭 도니의 실전 정리

  • 📑 월세라도 보증금 크면 전세로 간주되어 전세자금 대출 신청 가능
  • 🖋 계약서에 보증금/월세 명확히 기재 + 전입신고 필수
  • 📱 마이홈, 주택금융공사 앱 활용으로 비대면 신청도 가능
  • ⚠️ 순수 월세(보증금 거의 없음)는 전세자금대출 대상 제외

🔗 함께 보면 좋은 글

🏷️ 관련 키워드

#전세자금대출 #보증부월세 #청년주거지원 #버팀목대출 #전세대출요건 #머니케이브 #정책지원 #전세자금활용 #계약서작성팁 #도니전세팁

📌 마무리

월세라도 보증금만 크면 전세자금 대출이 가능합니다. 수천만 원의 대출을 받느냐 못 받느냐는 계약서 작성 한 줄, 전입신고 한 번에 달렸습니다.
지금 살고 있는 주거 형태를 다시 확인해보고, 조건이 맞는다면 대출 신청을 적극 고려해보세요!

다음 이전